초보 재테크

베이시스 트레이드, 무위험 수익의 착시와 연쇄 마진콜의 그림자ㅣDIN의 투자노트

DIN : DCA investor 2025. 4. 12. 09:00
반응형

 

 

 

💲 베이시스 트레이드, 무위험 수익의 착시와 연쇄 마진콜의 그림자

안녕하세요, 여러분! DCA Investor, 줄여서 DIN입니다. 🙂
최근 미국 30년물 국채 수익률이 4.9%를 넘보며 채권 시장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 와중에 투자자들 사이에서 위험하게 활용되고 있는 전략이 바로 ‘베이시스 트레이드(Basis Trade)’인데요. 오늘은 이 전략의 구조, 그리고 연쇄 마진콜로 이어지는 위험성과 시스템 리스크까지 짚어보겠습니다.

이미지 : 챗GPT 이미지 생성

📊 베이시스 트레이드란?

현물(국채)과 선물 가격의 차이(베이시스)를 활용한 차익거래 전략입니다.

  • 국채 현물 매수: 예: 30년물 미국 국채를 매입
  • 국채 선물 매도: 같은 금액을 미래에 팔기로 계약
  • 레버리지 자금조달: 단기 RP 거래 등을 통해 자금 조달

💡 쉽게 말하면?
싸게 산 물건을 비싸게 팔기 위해 돈을 빌려 미리 사두는 전략.
그런데 물건 값이 더 떨어지면? 빌린 돈을 갚을 수 없게 됩니다.

 

가격차에서 수익을 추구하며, 시장에서는 '무위험 전략'으로 분류되곤 합니다. 그러나 진짜로 무위험일까요?

⚠️ 레버리지 구조의 함정

  • 자기 자본보다 큰 거래 규모 → 조금만 변동해도 손실이 확대
  • 조달금리 상승 시 수익률 급락
  • 현물 자산 평가손 → 선물 포지션 유지에 마진콜 발생

이미지 : 챗GPT 이미지 생성

💬 마진콜(Margin Call)?
선물 거래에서 담보가 부족해지면 ”돈 더 넣어“라고 요구하는 것. 이를 감당하지 못하면 포지션이 강제로 청산됩니다.

🔥 연쇄 마진콜의 메커니즘

  1. 금리 급등 → 국채 가격 하락
  2. 현물 자산 손실 → 마진 부족 발생
  3. 현금 마련 위해 국채 매도 → 시장 가격 추가 하락
  4. 동일 구조의 기관들이 동시에 청산 → 시장 전체 유동성 위기

📈 지금 미국채 시장과 겹치는 위험

현재 장기물 금리가 급등하며 유동성 위기가 현실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 국채 수익률 4.9% 돌파
  • 국채 입찰 부진, 외국인 매수 약화
  • 헤지펀드 청산 압력 증가

레버리지 구조가 붕괴하면, 이는 단순한 포지션 청산을 넘어 금융 시스템 전체를 흔드는 연쇄 반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모럴 해저드와 SVB 사례

이러한 위기 속에서 반복되는 현상 중 하나가 바로 ‘모럴 해저드(Moral Hazard)’입니다.
💬 모럴 해저드란?
위험을 본인이 아닌 타인이 감당한다고 믿고 무책임한 결정을 내리는 것. "정부가 구해줄 테니 과감하게 투자하자"는 인식이 그것입니다.
대표 사례로는 2023년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가 있습니다:

  • 저금리 시기 장기 채권에 과도한 투자
  • 금리 상승 → 자산 손실 → 예금 인출 러시
  • 결국 파산 → FDIC의 전액 예금 보장 결정

이는 단기적으로 위기를 막았지만, 시장에 "위험해도 누군가 구해준다"는 잘못된 신호를 남기며 또 다른 위기의 씨앗이 될 수 있습니다.

📃 개인 투자자가 배워야 할 것

  • 무위험 전략도 구조를 봐야 한다
  • 레버리지는 수익보다 더 빨리 손실을 부른다
  • 금리와 채권 수익률은 시장의 위험 신호등이다

💬 DIN의 한마디

수익은 구조에서 오지만, 위기도 구조에서 온다. 🛡️
'무위험 수익'이라는 말에 속지 말고, 그 속에 숨겨진 시스템 구조를 꿰뚫어 보는 눈을 키우는 것이 우리가 이 시장에서 살아남는 법입니다.
다음 글에서 더 깊이 있는 전략과 인사이트로 찾아뵙겠습니다. DIN이었습니다. ✌️
 
 
2025.04.08 - [초보 재테크] - 금리 인상기, 채권 투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 ㅣDIN의 투자노트

 

금리 인상기, 채권 투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 ㅣDIN의 투자노트

📉 금리 인상기, 채권 투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안녕하세요, 여러분! DCA Investor, 줄여서 DIN입니다. 😊2024년까지 이어진 전 세계적인 금리 인상기, 이제는 점점 정점 통과라는 시그널이 나오고 있

dcainvestor.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