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한국은 또 한 번 중대한 갈림길에 서 있다.
무디스(Moody’s)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조용하지만 강력한 경고를 보냈다.
“확장적 재정정책은 한국의 부채 부담을 심화시킬 수 있다.”
다가오는 장미대선.
후보들은 앞다투어 ‘기본소득’과 ‘무상 복지’를 외친다.
하지만 진짜 서민은 무엇을 원할까?
단순한 돈이 아니라,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자산을 원한다.
⸻
1. 무디스의 경고 – 부채는 결국 서민의 몫이다
무디스는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여전히 ’Aa2(안정적)’로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기본소득과 같은 확장적 재정정책이 부채 부담을 키울 수 있다고 명확히 경고했다.
고령화, 연금 고갈, 인구 감소.
이런 구조적 리스크 위에 대규모 복지까지 얹는다면,
그 부채는 세금, 물가, 금리 인상이라는 이름으로 서민에게 청구서가 돌아온다.
⸻
2. 장미대선과 선심성 공약의 위험
다가오는 대선에서 일부 후보는 보편적 기본소득을 전면에 내걸고 있다.
“모든 국민에게 일정액을 나눠주겠다.”
듣기엔 아름답다. 그러나 재원은 어디서 나오는가?
• 증세?
• 국채 발행?
• 미래 세대에 부담 전가?
정치는 단기 인기만 보고 움직이지만,
경제는 결국 계산서로 응답한다.
⸻
3. 소비 위주 경제 vs 자산 축적 경제
GDP 공식은 ‘소비’가 늘어나면 일시적으로 성장한다.
하지만 소비만으로 성장하는 경제는 부채에 의존하고, 경기 침체에 취약하다.
반면 국민이 소비를 줄이고 자산을 축적하면,
• 금융시장에 안정적 자본이 공급되고,
• 국민 개개인의 재무건전성이 높아지며,
• 위기 때도 스스로를 지킬 수 있다.
자산은 경제의 “근육”이다.
소비는 경제의 “당장 에너지”일 뿐이다.
⸻
4. 미국은 401(k)로 답을 보여줬다
미국은 1980년대, 401(k) 제도를 도입했다.
월급 일부를 주식, 채권 등에 장기 투자하도록 유도한 것이다.
그 결과,
• 미국 중산층은 자산가가 되었고,
• 은퇴 후에도 빈곤에 빠지지 않았으며,
• 국가 복지 부담이 크게 줄었다.
• 금융시장은 안정적 유동성을 확보했다.
국민 개개인의 자산 증식이, 미국 경제의 체력을 키운 것이다.
서민이 소비자가 아니라 시장과 기업의 공동 주주가 되는 구조를 만든 결정적 전환이었다.
⸻
5. 진짜 국익은 ‘성장 기반 서민경제’
한국 경제가 가야 할 길은 분명하다.
• 단기적 현금 살포가 아니다.
• 서민이 자산을 축적할 수 있도록 하는 성장 기반이다.
구체적으로는:
• 중소기업 혁신 투자
• 청년 창업 지원
• 지방 균형 발전
• 금융 시장 건전성 강화
• 교육 투자로 경제적 사다리 복원
서민이 소비자가 아니라 자산가가 될 수 있는 사회.
그것이 진정한 부국강병의 길이다.
⸻
DIN의 한마디
정치는 감성으로 움직인다.
하지만 경제는 냉정하게 계산한다.
“복지”를 외치는 정치가, “부채”를 남긴다면,
“분배”를 외치는 정치가, “가난”을 고착시킨다면,
서민은 눈에 보이는 돈이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미래를 선택해야 한다.
국민이 자산을 축적할 수 있을 때, 국가는 진짜 강해진다.
지금 필요한 것은 돈을 나누는 게 아니라,
기회를 나누는 것이다.
'초보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배당금 결산 (147) | 2025.04.30 |
---|---|
세계는 어디로 가는가 – 중국, 사회주의의 몰락, 그리고 경제 신식민지화 (161) | 2025.04.28 |
테슬라, 어닝쇼크에도 주가 상승! (123) | 2025.04.26 |
“좌파 마인드로는 절대 부자 못 된다” – 복리를 거부하는 그들 (154) | 2025.04.24 |
미국 주식 급등락, 초보 투자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DIN의 투자 노트 (58)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