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DCA Investor입니다!
오늘은 비트코인과 관련된 흥미로운 소식을 가져왔습니다. 아시다시피 지난 3월 6일, 트럼프 대통령이 비트코인을 미국의 전략자산으로 편입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죠. 그런데 이 소식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 가격은 큰 변동 없이 유지되었습니다. 이때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 "행정명령 서명만으로 모든 게 끝날까?" 그래서 이후의 절차에 대해 자세히 조사해보았습니다. 먼저 이 행정명령의 서명 후 확정 과정과, 둘째로 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해 미국의 부채를 줄이고 달러 패권을 연장할 수 있는 전략의 가능성을 경제학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분석해보겠습니다.
행정명령 서명 후 확정 과정은 어떻게 되나? 📜
행정명령의 법적 효력: 미국 대통령은 헌법상 행정권을 가지고 있어 독자적으로 정책을 실행할 수 있지만, 이는 의회와 사법부의 권한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만 유효합니다. 이번 비트코인을 전략자산으로 편입하는 행정명령은 대통령의 권한 내에서 기존에 몰수된 비트코인(약 200,000 BTC, 2025년 3월 기준 약 1,740억 달러)을 비축하라는 명령이지만, 새로운 비트코인 구매나 법적 기반 확립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추가 절차 필요성: 행정명령은 즉시 시행되지만, 구체적인 실행을 위해서는 재무부와 상거래부가 60일 이내에 법적·투자적 평가를 제출해야 합니다. 또한 각 기관은 30일 내에 보유 디지털 자산을 보고해야 하죠. 하지만 비트코인을 국가 전략자산으로 공식 인정하거나 추가 구매를 위해서는 의회 승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의회 법안(예: 상원의원 신시아 럼미스의 100만 BTC 비축 법안) 통과 없이는 제한적인 실행에 그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현재 폴리마켓 예측에 따르면, 2025년 내 비트코인 전략 비축 확정 가능성은 61%로 낮은 상태입니다.
사법부와 시장 반응: 사법부가 행정명령의 합법성에 이의를 제기하거나, 시장(비트코인 가격 5.7% 하락)이 부정적으로 반응하면 추가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 서명만으로는 확정이 아니라, 의회 승인과 법적 검토 과정을 거쳐야 완전한 실행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으로 부채 줄이고 달러 패권 연장 가능성 💡
트럼프 행정부가 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을 미국의 부채를 줄이고 달러 패권을 연장하는 수단으로 활용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경제학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이 전략의 가능성을 분석해보겠습니다.
미국 부채 현황
2025년 3월 기준, 미국 국채는 약 35조 달러에 달합니다. 연간 재정 적자는 2,000억 달러로 추정되며, 관세 수입(3.7조 달러, Morgan Stanley 추정)으로 일부 완화될 수 있지만 근본적 해결책은 아닙니다. 경제학자 에스와르 프라사드(Cornell University)는 비트코인을 부채 감축 수단으로 고려할 수 있지만, 그 변동성(2025년 1월 10만 9천 달러에서 3월 8만 7천 달러로 하락)이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비트코인 활용 방안
트럼프 행정부는 몰수된 200,000 BTC(약 1,740억 달러)를 전략 비축으로 유지하며, 이를 국가 자산으로 인정해 부채 상환에 간접적으로 활용하려 할 수 있습니다. 알렉스 손(Galaxy Digital)은 비트코인을 "디지털 금"으로 보고, 연준이 금리 정책을 조정할 때 자산 가치로 활용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하지만 래리 해리스(USC Marshall)는 비트코인 가격 폭락 시 정부가 손실을 감당해야 하므로 위험하다고 경고했습니다. 추가 구매를 통해 비트코인 보유를 늘리면, 장기적으로 달러 패권을 보완하는 대체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낙관론도 있습니다.
스테이블코인 활용 방안
스테이블코인(USDT, USDC)은 1:1 달러에 고정되어 있어 부채 상환에 직접 사용하기 어렵지만, 글로벌 결제 시스템에서 달러 사용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프라사드는 스테이블코인이 국제 무역에서 달러 의존도를 높여 패권을 연장할 수 있다고 봤습니다. 예를 들어, USDT 시장 규모(2025년 3월 1,200억 달러)가 커지면, 달러 기반 자산으로서 신뢰를 강화할 수 있어요. 하지만 닉 카터(Castle Island Ventures)는 스테이블코인이 중앙화된 리스크(예: 테더의 준비금 문제)를 안고 있어 의존도가 높아지면 반발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경제학자들의 주장과 현실성 분석 🧐
이제 경제학자들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분석해볼게요. 프라사드는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으로서 달러 패권을 보완하고, 스테이블코인이 글로벌 무역에서 달러 사용을 늘릴 수 있다고 낙관적으로 봤어요. 알렉스 손(Galaxy Digital)도 비트코인 보유를 늘리면 장기적으로 부채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고 낙관했죠. 신시아 럼미스 상원의원은 의회 법안 통과 시 비트코인이 "금융적 회복력"을 강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어요. 반면, 래리 해리스(USC Marshall)는 비트코인 가격 변동성과 스테이블코인의 중앙화 리스크가 부채 감축과 달러 패권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어요. 닉 카터는 정부가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부작용이 크다고 우려했죠.
이런 의견을 종합하면,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의견이 갈리는 가운데 성공 가능성은 약 40~50% 정도로 보입니다. 비트코인 가격 변동성(1,740억 달러에서 하락 시 손실 위험)과 스테이블코인의 신뢰 문제(예: 테더 준비금 논란)가 해결되지 않으면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어요. 또한, 의회 승인(61% 가능성)과 글로벌 반응(중국 보복)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거예요.
초보 투자자를 위한 시사점 🌱
이 행정명령과 전략이 진행되면 초보 투자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 전략을 세워야 해요. 비트코인 가격 변동성(현재 8만 7천 달러)을 고려해, 스테이블코인(예: USDT)을 소액(5만 원)으로 보유하며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좋아요. 예를 들어, 업비트에서 USDT를 5만 원으로 매수하면 1:1 달러 고정으로 변동성 리스크를 줄일 수 있어요. 또한, 코카콜라 같은 훌륭한 기업에 적립식 투자(월 5만 원)를 병행하며 장기적인 성장을 노려보세요. 코카콜라는 2025년 3월 기준 주가 65달러, 배당률 3.2%로 안정적이에요(버크셔 해서웨이 보고서, 2025년 3월). 포트폴리오에서 현금을 20% 비중으로 유지하며 변동성에 대비하는 것도 잊지 마세요.
나의 계획과 독자 의견 💬
저는 행정명령과 상관없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비트코인이 하루아침에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매일 1만원씩 비트코인을 모으고 있죠. 블랙록에서 비트코인을 상품화했고, 래리 핑크의 의지대로 흘러가고 있는 만큼 앞으로 자산으로 인정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역사를 들여다보면 조개껍데기도 한때 화폐로 사용됐었죠.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바로 사회적 합의를 통해 가치가 부여되었기 때문이라고 해요. 비트코인에 내재 가치가 없다고들 하지만, 사회적 합의로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보기에 앞으로도 꾸준히 투자할 계획입니다.
비트코인의 가격 변동성은 크지만, 이 전략이 미국 경제와 달러 패권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하고 있어요. 여러분은 트럼프의 비트코인 전략 자산 편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암호화폐 투자 계획이나 의견을 댓글로 나눠주세요!
2025.03.17 - [초보 재테크] - 미국의 관세 정책과 경제 전략
미국의 관세 정책과 경제 전략
안녕하세요, DCA Investor입니다!현재 미국의 관세 정책이 화제가 되고 있어요. 최근 몇 주간 시장이 요동치며 초보 투자자들이 혼란스러울 수 있는데, 이에 저의 생각을 써보려고 해요. 지금 미국
dcainvestor.tistory.com
'초보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의 상호 관세 정책, 그 실체와 영향 (2) | 2025.03.24 |
---|---|
시장 성장과 배당주 투자 (5) | 2025.03.23 |
미국의 관세 정책과 경제 전략 (8) | 2025.03.17 |
2025년 초보자를 위한 해외 주식 투자: 소액 접근법 (3) | 2025.03.17 |
2025년 초보자를 위한 리츠 투자 가이드: 소액으로 시작하기 (4) | 2025.03.17 |